2.0 붕괴 스타레일 블랙스완 출시! – 성능과 돌파, 광추 어떨까

블랙 스완 픽업 기간 – 2/6~2/29 (오후 12시 59분)
스타레일 블랙 스완
스타레일 블랙 스완

2024년 2월 6일, 붕괴 스타레일의 2.0 버전이 새롭게 업데이트되면서 스타레일 블랙스완이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블랙 스완은 블레이드에 이어 오랜만에 등장한 바람 속성 딜러공허 운명의 길을 지닌 캐릭터였는데요.

점술가라는 컨셉에 맞게 신비로우면서도 매력적인 디자인에 힘입어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픽업은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대략적인 블랙 스완 성능과 돌파에 대해 알아보며 판단해 봅시다. 그리고 또, 카프카는 왜 그렇게 필수라고들 하는 지 살펴보죠.

붕괴 스타레일 블랙스완 – 카프카는 왜 필수라는 걸까?

스타레일 2.0 픽업
지속 피해 딜러로 출시된 블랙 스완

블랙 스완은 출시 전부터 지속 피해를 메인으로 하는 딜러로 알려졌기 때문에 카프카와의 조합이 강조되었었는데요.

우선 지속 피해를 짚고 넘어가자면, 이는 적의 턴이 시작될 때, 해당 적에게 쌓여진 스택들을 정산하는 방식으로 데미지를 입히는 피해입니다.

그리고 이 스택을 쌓는 법들은 보통 캐릭터들의 전투 스킬이나 필살기로 할 수 있죠. (감전, 연소, 열상 등)

그렇기 때문에 지속 피해 딜러는 적어도 또 한 명의 지속 피해 딜러와 함께 파티를 꾸리는 것이 다양한 지속 피해를 중첩시켜 큰 데미지를 주기에 용이한데요.

하지만 여기서 카프카가 중요한 가장 큰 이유는 카프카의 전투 스킬 때문이었습니다.

스타레일 카프카
스텔라론 헌터 카프카

카프카의 전투 스킬인 달빛의 어루만짐은 적에게 쌓여진 지속 피해들을 스킬 발동과 동시에 즉시 발동시키는 효과가 있는데요.

여기에 일반적인 지속 피해는 적의 턴 시작과 함께 1스택이 사라지는 반면, 카프카의 전투 스킬로 발동되는 지속 피해는 스택을 소모하지 않습니다.

이런 스킬 메커니즘 때문에 카프카는 지속 피해를 잘 쌓는 공허 딜러들이 나올 때마다 더욱 빛을 보는 캐릭터가 되었는데요.

이 때문에 블랙 스완 또한 카프카와의 조합이 우선시된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카프카가 없으면 블랙 스완은 뽑지 말아야 하는 걸까요?

블랙 스완 성능 – 지속 피해 = 안정적인 1~2티어, 나중엔 0티어도?

블랙스완 성능
블랙 스완 가챠 일러스트

지속 피해는 개성이 매우 확실한 메커니즘인데요. 저점은 높지만 고점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지속 피해의 데미지는 적의 강인도와 상관없이 캐릭터의 스킬 계수 또는 적의 hp에 비례해 들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여기에 동일한 유형의 지속 피해라도 캐릭터가 다를 경우엔 중첩이 가능합니다. 카프카의 감전과 서벌의 감전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죠.

다만 이러한 장점과는 반대로 지속 피해에는 치명타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지속 피해 딜러 세팅은 효과 명중 속도, 공격력%에 크게 치중하는 편이고, 치명타는 챙기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속 피해 딜러들은 세팅에 큰 공을 들이지 않고도 높은 저점을 가지지만, 또 반대로 치명타가 터지지 않아 고점이 떨어지는데요.

스타레일 경류
붕괴 스타레일 경류

0티어 딜러들인 경류음월, 아젠티 같은 딜러들은 여러 치명타 버프로 딜을 몇 배 뻥튀기 시킬 수 있는 와중에, 지속 피해는 계수만을 정직하게 따라가는 것이죠.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카프카와 블랙 스완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0티어 딜러들만큼의 화력을 체감하기엔 한계가 있습니다.

지속 피해 딜러들의 풀이 아직 한참 모자란 지금, 블랙 스완과 카프카는 잘 쳐줘도 1티어 딜러가 한계라고 볼 수 있죠.

또한 그렇기 때문에 카프카가 없더라도 블랙 스완을 뽑고 싶다면 뽑아도 괜찮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스타레일 계네빈
공허 · 화염 속성의 계네빈

카프카의 지속 피해 즉발은 굉장히 크지만, 결국 지속 피해의 핵심은 중첩이기 때문에 블랙 스완 + 다른 4성 지속 피해 딜러를 넣어서 사용하면 될 일이죠.

결론적으로는, 현재 블랙 스완 성능은 전형적인 지속 피해 딜러의 저점 높은 안정성이 핵심이기 때문에 0티어 딜러를 원한다면 뽑지 않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속성의 영향을 다른 딜러들에 비해 적게 받기 때문에 1티어 딜러임을 감안하고 뽑는다면 그대로 뽑는 것을 추천합니다.

워낙 인플레이션이 일어나는 게임이기 때문에 현재 고점이 확실한 카프카가 없으면 왜 굳이? 라는 의문이 클 뿐, 성능이 자체는 준수하기 때문이죠.

바람 속성 딜러라는 메리트와 지속 피해로 안정적인 딜링을 넣는 블랙 스완, 만약 뽑기를 결심했다면 캐릭터 돌파는 또 어떨까요.

블랙 스완 돌파 & 광추 – 1돌 > 전용 광추, 그리고 사냥감의 시선

스타레일 블랙스완
스타레일 블랙스완

블랙 스완은 1돌파가 굉장히 좋은 캐릭터입니다. 그 효과는 이러했는데요.

블랙 스완이 전투 가능 상태일 시 풍화, 열상, 연소, 감전 상태인 적의 바람, 물리, 화염, 번개 속성 저항이 각각 25% 감소한다

지혜의 일곱 기둥

지속 피해를 입힌 적에게 해당 속성의 속성 저항을 시켜주는 이 돌파는, 워낙 보스 몹들 중에서 강력한 속성 저항을 갖고 있는 몹들이 많기 때문에

충분히 높은 활용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여기에 웬만한 지속 피해는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는 공허 파티 한정 상시 속성 저항 감소 효과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기적인 성능 때문에 공허팟을 꾸리려는 사람들에게 블랙 스완의 우선 순위는 되려 전용 광추보다 1돌이 먼저 꼽히는 데요.

블랙스완 광추
사냥감의 시선

전용 광추의 경우엔 4성 광추인 사냥감의 시선으로 충분히 대처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냥감의 시선은 5중첩 기준 전용 광추와 똑같은 효과 명중을 제공하는 데요. (40%)

여기서 차이는 블랙 스완 개인의 딜적인 부분인데, 공허 파티 특성 상 개인보다는 파티가 함께 딜을 넣다 보니 그 중요도가 1돌에 비해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신규 지속 피해 딜러인 블랙 스완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페나코니와 함께 흥하길 기원하며 이번 글을 마칩니다.

1 thought on “2.0 붕괴 스타레일 블랙스완 출시! – 성능과 돌파, 광추 어떨까”

  1. I’ve been surfing online more than 3 hours as of late,
    yet I never discovered any attention-grabbing article like yours.
    It’s pretty price sufficient for me. In my opinion, if all web
    owners and bloggers made good content material as you probably did, the
    web will likely be a lot more helpful than ever before.

    응답

Leave a Comment